프로그래밍 언어 활용 > IP주소 > 서브네팅
- 서브네팅
- 서브네팅의 개념 : 할당된 네트워크 주소를 다시 여러 개의 작은 네트워크로 나누어 사용하는 것
- 서브넷 마스크
- 4바이트의 IP 주소 중 네트워크 주소와 호스트 주소를 구분하기 위한 비트
- 서브넷 마스크를 변경하여 네트워크 주소를 여러 개로 분할하여 사용
- 각 클래스마다 다르게 사용
- CIDR 기법 사용 시 서브넷 마스크는 IP 주소 뒤의 숫자를 이용해 계
- CIDR 표기 및 FLSM (Fixed-Length Subnet Masking) 사례
- CIDR 표기의 개념 : 도메인 간의 라우팅에 사용되는 인터넷 주소를 원래의 IP 주소 클래스 체계를 쓰는 것보다 더욱 융통성 있도록 할당하고 지정하는 방식 (Supernetting, Subnetting)
- FLSM
- FLSM의 개념 : 동일한 크기로 현재의 네트워크를 나눈다는 의미
- FLSM의 방법 : 서브넷 대역에서 호스트들이 사용 가능한 IP 주소 중 제일 첫 IP 주소는 네트워크 주소, 제일 마지막 IP 주소는 브로드 캐스트 주소로 할당, 나머지 IP들은 호스트에 할당
- 192.168.1.0/24를 FLSM 방식으로 표기하는 방법
- 192.168.1.0/24 = 서브넷 마스크가 255.255.255.0
- CIDR 표기에서 /24가 붙는 이유 : 8비트 크기의 앞쪽 3개 필드를 합치면 24개 비트
- /24의 의미는 현재의 IP앞에서 앞의 24비트는 Net ID로 사용하고 뒤의 8비트는 Host ID로 사용 중임을 의미하므로 서브넷 마스크는 255.255.255.0이 됨
- /24의 네트워크를 4개로 나누려면 뒤에 있는 8개 비트인 Host ID에서 2개의 비트를 빌려 와서 2^2인 4개 대역으로 나눌 수 있음
- 2개의 비트만 빌려오면 2^2인 4개가 서브네팅 가능한 최대 개수
- 2개의 비트를 Net ID로 가져온 경우 이를 CIDR로 표시하면 192.168.1.0/26
- Net ID 개수가 총 26개(24+2)라는 의미
- 서브넷 마스크는 255.255.255.192이 됨
- 192는 마지막 8개 비트에서 Net ID로 할당한 2개를 1개로 세팅한 후 10진수로 표현한 값 (11000000 > 192)
- IP를 4개로 서브네팅하면 호스트가 할당 가능한 IP는 다음과 같음
- 서브넷 마스크가 255.255.255.0이면 할당 가능한 총 Host ID는 2^8이므로 256개
- 4개 동일 크기로 서브네팅하면 각 영역은 64개의 호스트 IP를 할당할 수 있으며, 각 IP 영역별 첫 IP는 네트워크 주소이고, 마지막 IP주소는 브로드 캐스트 주소가 됨
- 첫 번째 대역 : 192.168.1.0 ~ 192.168.1.63
- 두 번째 대역 : 192.168.1.64 ~ 192.168.1.127
- 세 번째 대역 : 192.168.1.128 ~ 192.168.1.191
- 네 번째 대역 : 192.168.1.192 ~ 192.168.1.255
- 기출문제 풀이
- 192.168.1.0/24
- 서브넷 마스크 : 255.255.255.0
- 할당 가능한 총 Host ID : 2^8 = 256개
- 서브네팅 후 영역 : 4개의 호스트
- 첫번째 대역 : 192.168.1.0~192.168.1.63
- 두번째 대역 : 192.168.1.64~192.168.1.127
- 세번째 대역 : 192.168.1.128~192.168.1.191
- 네번째 대역 : 192.168.1.192~192.168.1.255
- 203.241.132.82/27
- 서브넷 마스크 : 255.255.255.224
- 할당 가능한 총 Host ID : 2^8 = 256개
- 서브네팅 후 영역 : 8개의 호스트
- 첫번째 대역 : 192.168.1.0~192.168.1.31
- 두번째 대역 : 192.168.1.32~192.168.1.63
- 세번째 대역 : 192.168.1.64~192.168.1.95
- 네번째 대역 : 192.168.1.96~192.168.1.127
- 다섯번째 대역 : 192.168.1.128~192.168.1.159
- 여섯번째 대역 : 192.168.1.160~192.168.1.191
- 일곱번째 대역 : 192.168.1.192~192.168.1.223
- 여덟번째 대역 : 192.168.1.224~192.168.1.255
- 203.241.132.82/28
- 서브넷 마스크 : 255.255.255.240
- 할당 가능한 총 Host ID : 2^8 = 256개
- 서브네팅 후 영역 : 4개의 호스트
- 첫번째 대역 : 192.168.1.0~192.168.1.63
- 두번째 대역 : 192.168.1.64~192.168.1.127
- 세번째 대역 : 192.168.1.128~192.168.1.191
- 네번째 대역 : 192.168.1.192~192.168.1.255
- 192.168.1.0/24
800제-466번. CIDR(Classless Inter-Domain Routing) 표기로 203.241.132.82/27과 같이 사용되었다면, 해당 주소의 서브넷 마스크(subnet mask)는?
① 255.255.255.0
② 255.255.255.224
③ 255.255.255.240
④ 255.255.255.248
정답 :2
800제-569번. 192.168.1.0/24 네트워크를 FLSM 방식 네트워크로 변환하기 위해 4개의 Subnet으로 나누고 IP Subnet-zero를 적용했다. 이 때 Subnetting된 네트워크 중 4번째 네트워크의 사용가능한 IP는 무엇인가?
① 192.168.1.192
② 192.168.1.195
③ 192.168.1.196
④ 192.168.1.198
정답 : 3
800제-773번. CIDR(Classless Inter-Domain Routing) 표기로 203.241.132.82/28과 같이 사용되었다면, 해당 주소의 서브넷 마스크(subnet mask)는?
① 255.255.255.0
② 255.255.255.224
③ 255.255.255.240
④ 255.255.255.248
정답 :3
1000제-656번. CIDR(Classless Inter-Domain Routing) 표기로 203.241.132.82/28과 같이 사용되었다면, 해당 주소의 서브넷 마스크(subnet mask)는?
① 255.255.255.0
② 255.255.255.224
③ 255.255.255.240
④ 255.255.255.248
정답 : 3
1000제-973번. CIDR(Classless Inter-Domain Routing) 표기로 203.241.132.82/28과 같이 사용되었다면, 해당 주소의 서브넷 마스크(subnet mask)는?
① 255.255.255.0
② 255.255.255.224
③ 255.255.255.240
④ 255.255.255.248
정답 :3
'정보처리기사 > 오답정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오답정리] 네트워크 OSI 7계층 (0) | 2025.04.23 |
---|---|
[오답정리] 레지스터 (0) | 2025.04.23 |
[오답정리] 암호화 기법 (1) | 2025.04.21 |
[오답정리] 수학적 산정 기법 - COCOMO 모델 (0) | 2025.04.21 |
[오답정리] Secure SDLC, CLASP (0) | 2025.04.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