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53. 데이터베이스의 종류
- 분산 데이터베이스 : 하나의 데이터베이스 관리시스템이 여러 CPU에 연결된 저장장치를 제어하는 형태의 데이터베이스, 논리적으로는 같은 시스템이나 컴퓨터 네트워크를 통해 물리적으로 분산되어 있는 데이터들의 모
- 분석 데이터 베이스 : ETL 과정을 통해서 만들어진 데이터 베이
854. 분산 데이터베이스의 투명성
- 분할 투명성 (단편화) : 하나의 논리적 릴레이션이 여러 단편으로 분할되어 각 단편의 사본이 여러 사이트에 저장
- 위치 투명성 : 사용하려는 데이터의 저장 장소 명시 불필요, 위치 정보가 시스템 카탈로그에 유지되어야 함
- 지역 사상 투명성 : 지역 DBMS와 물리적 DB 사이의 매핑 보장, 각 지역 시스템 이름과 무관한 이름 사용 가능
- 중복 투명성 : DB 객체가 여러 site에 중복되어 있는지 알 필요가 없는 성질
- 장애 투명성 : 구성 요소의 장애에 무관한 트랜잭션의 원자성 유지
- 병행 투명성 : 다수 트랜잭션 동시 수행 시 결과의 일관성 유
855. 클러스터
- 디스크로부터 데이터를 읽어오는 시간을 줄이기 위해서 조인이나 자주 사용되는 테이블의 데이터를 디스크의 같은 위치에 저장시키는 방법
- 어떤 정해진 컬럼 값을 기준으로 동일한 값을 가진 하나 이상의 테이블의 로우를 같은 장소에 저장하는 방
856. DCL 명령어 (데이터 제어어)
- 무결성
- COMMIT : 수행된 결과를 실제 물리적 디스크로 저장
- ROLLBACK : 명령 수행 실패를 의미하여 수행된 결과를 원복시킴
- SAVEPOINT (Checkpoint) : 저장점 지정, 지정된 저장점부터 현재까지 일부만 ROLLBACK 가능
- 데이터보안
- GRANT : 데이터베이스 사용자에게 사용 권한 부여
- REVOKE : 데이터베이스 사용자에게 부여된 사용 권한 취
858. 갱신 권한
- 테이블A의 데이터에 대한 UPDATE 권한을 부여하는 것
- 대상 테이블A 앞에 'ON' 명령어 사용
- 데이터 제어어 (DCL) : GRANT, REVOKE
861. 비트 단위 논리연산자, 조건연산자
- 비트 단위 논리 연산자
- & : 논리곱 (AND)
- | : 논리합 (AND)
- ~ : 부정 (1의 보수)
- ^ : 배타적 OR
- << : 좌측으로 이동
- >> : 우측으로 이동
- 조건 연산자 (3항 연산자) : ?
864. 무선 LAN 표준 (IEEE 802.11 표준화 동향)
- 802.11
- b : 2.4GHz ISM 대역에서 최대 11Mbps 전송속도를 지원하는 고속 PHY 개발
- a : 5GHz ISM 대역에서 최대 54Mbps 전송속도를 지원하는 고속 PHY 개발
- e : Qos 보증을 위한 MAC 강화
- f : 액세스 포인트 간의 표준화된 프로토콜 개발
- g : 2.4GHz ISM 대역에서 최대 20Mbps 이상 전송 속도를 지원하는 고속 PHY 개발
- h : 802.11a에서 동적 주파수 선택 기능 추가
- i : 보안을 위한 MAC 강화
865. TCP/IP 프로토콜
- ICMP, ARP, RARP : IP 의 대표적인 프로토콜
- SNMP, DNS, DHCP, COAP : UDP 의 대표적인 프로토콜
- IP 프로토콜의 종류
- UDP : RFC 768 문서에 정의된 비연결 지향형 통신 프로토콜
- TCP : 송신 포트에서 수신 포트로 바이트 스트림을 전송하는 연결 지향형 통신 프로토콜
- ARP : IP 주소를 MAC 주소로 변환하는 프로토콜
- RARP : MAC 주소를 IP 주소로 변환하는 프로토콜
- ICMP : IP 패킷을 처리할 때 발생되는 문제를 알리거나 진단하는 프로토콜
866. HRN
- SJF의 약점 보안 기법
- 실행 시간이 긴 프로세스를 차별하고 짧은 프로세스를 지나치게 선호하는 점을 보강한 알고리즘
- 각 프로세스의 우선순위를 서비스 시간만 아니고 서비스 대기 시간도 계산하는 스케줄링 기법
- 우선 순위 계산식 = (대기시간 + 서비스 시간) / 서비스 시간
867. 선입선출 알고리즘
- First In First Out 순서로 페이지 교체
871. JAVA 접근 제한자
- protected : 클래스를 구성하는 객체에 대해 동일 패키지 내에서만 접근이 가능한 접근 제한자
882. RIP
- 인접해 있는 라우터와 라우팅 정보를 교환하는 거리 벡터 라우팅
- 소규모의 동종 네트워크 내에서 효율적인 라우팅 방법
- 최단 경로 탐색 알고리즘 : Bellman-Ford
- 최대 홉수 제한 : 15
884. 소프트웨어 위기 발생 요인
- 소프트웨어 특징에 대한 이해 부족
- 소프트웨어 관리 부재
- 소프트웨어 품질이나 유지보수는 고려하지 않고 프로그래밍에만 치중
885. 역공학
- 자동화된 도구의 도움으로 물리적 수준의 소프트웨어 정보를 논리적인 소프트웨어 정보의 서술로 추출하는 프로세스
889. 유지보수의 유형
- 수정적 유지보수
- 발견된 오류나 잠재적인 오류의 원인을 찾아 문제 해결
- 사례 : 하자 유지 보수, 처리 오류, 수행 오류, 구현 오류
- 완전적 유지보수
- 새로운 기능을 추가하여 개선
- 사례 : 신규 비지니스 프로세스 발생, 수행력 향상
- 예방적 유지보수
- 유지보수성, 신뢰성 향상 위한 구조 변경
- 사례 : 노후화된 SW의 refactoring
- 적응적 유지보수
- 새로운 자료나 운영체제, 하드웨어 환경으로 이식
- 사례 : sw 환경 변경으로 porting, HW, SW 변
891. SPICE의 단계
- 0 : 불완전 단계 - 미구현 또는 미달성
- 1 : 수행 단계 - 프로세스 수행 및 목적 달성
- 2 : 관리 단계 - 프로세스 수행 계획 및 관리
- 3 : 확립 단계 - 정의된 표준 프로세스 사용
- 4 : 예측 단계 - 프로세스의 정량적 이해 및 통제
- 5 : 최적화 단계 - 프로세스를 지속적으로 개선
892. NAT
- 하나의 공인 IP 주소를 다량의 가상 사설 IP 주소로 할당 및 매핑하는 주소 변환 기술
- NAT의 핵심 기술
- IP Masquerading : One-to-many 변환
- Port Forwarding : Destination Port 정보로 내부 사설 IP (호스트) 식별
- Load Balancing : 사설망 내 특정 서버로의 부하 집중 방지
893.TCP/IP 프로토콜
- ICMP, ARP, RARP : IP 의 대표적인 프로토콜
- SNMP, DNS, DHCP, COAP : UDP 의 대표적인 프로토콜
- IP 프로토콜의 종류
- UDP : RFC 768 문서에 정의된 비연결 지향형 통신 프로토콜
- TCP : 송신 포트에서 수신 포트로 바이트 스트림을 전송하는 연결 지향형 통신 프로토콜
- ARP : IP 주소를 MAC 주소로 변환하는 프로토콜
- RARP : MAC 주소를 IP 주소로 변환하는 프로토콜
- ICMP : IP 패킷을 처리할 때 발생되는 문제를 알리거나 진단하는 프로토콜
895. OSPF
- 자치 시스템 내부의 라우터들 간의 라우팅 정보를 교환하는 링크 상태 라우팅 프로토콜
- 경로 설정 시 Hop Count만 고려한 RIP에 비해서 대역폭 이용도를 계산해서 최적 경로 계산
- OSPF 라우팅 프로토콜의 장점
- 컨버전스 타임
- 라우터 간에 서로 변경된 정보를 주고 받는데 걸리는 시간
- RIP의 경우 30초마다 업데이트가 발생하므로 컨버전스에 많은 시간이 걸리지만 OSPF는 변화가 생길 때 바로 전달하기 때문에 훨씬 빠름
- Area 사용
- 전체 네트워크를 작은 영역으로 나누어 관리
- 작은 영역으로 나누어진 부분에서 변화가 일어나더라도 ABR 라우터를 통해 다른 영역과 연결이 가능하다면 다른 영역이 그 변화를 알 필요가 없음
- VLSM 지원
- VLSM을 지원해 IP 주소를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음
- 네트워크 크기
- 홉카운트의 제한이 없음
- 경로 결정
- 속도나 딜레이를 감안해 경로를 선택하기 때문에 정확한 경로 선택이 가능
- 컨버전스 타임
898. 암호화 알고리즘
- DES
- Data Encryption Standard
- 1972년 미 상무부의 NBS에서 정보보호를 목적으로 공모한 대칭키 기반 블록 암호화 알고리즘
- PKI
- 공개키 기반 구조
- 각 개인이 공개 키와 개인키를 소유하는 구조의 비대칭 키 기반 구조 (x. 509 표준)
- 개인 키로 암호화하고 공개 키로 복호화하는 구조
- 전사 서명, 공인 인증서 검증을 통해 부인 방지, 인증, 무결성, 기밀성 제공
- PSA
- 주요 정보를 두 개의 소수로 표현한 후 두 소수의 곱을 힌트와 함께 전송해 암호로 사용하는 비대칭키 암호화 알고리즘
- 큰 숫자를 소인수 분해하기 어렵다는 기반하에 1978년 MIT에 의해 제안된 공개키 암호화 알고리즘
- 전자 서명, 공개키 기반 구조에서 사용
899. 임계경로 소요기일
- 임계 경로 소요기일 구하는 방법 : 시작부터 완료까지의 경로 중 가장 오래 걸리는 경로의 합
'자격증 > 정보처리기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정보처리기사 필기] 기출문제 - 951 ~ 1000. 오답노트 (0) | 2025.03.27 |
---|---|
[정보처리기사 필기] 기출문제 - 901 ~ 950. 오답노트 (0) | 2025.03.26 |
[정보처리기사 필기] 기출문제 - 801~ 850. 오답노트 (0) | 2025.03.24 |
[정보처리기사 필기] 기출문제 - 751 ~ 800. 오답노트 (0) | 2025.03.20 |
[정보처리기사 필기] 기출문제 - 701 ~ 750. 오답노트 (0) | 2025.03.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