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작업 표시줄의 개념현재 실행되고 있는 프로그램(앱)들이 표시되는 부분프로그램을 빠르게 실행하기 위해 등록한 고정 프로그램 단추 등이 표시되는 부분바탕 화면의 맨 하단에 위치하고 [시작] 단추와 빠른 실행, 작업 표시줄, 숨겨진 아이콘 표시, 시스템 표시 영역, 입력 도구 모음, 시간 및 날짜, 알림 센터, 바탕 화면 보기 등으로 구성작업 표시 줄의 바로 가기 메뉴에서 [작업 표시줄 잠금]을 해제하여 바탕 화면의 상하, 좌우로 이동시킬 수 있고 화면 크기의 1/2까지 늘릴 수 있음2. 작업 표시줄 구성 요소 및 바로 가기 키작업 표시줄 구성 요소[시작] 버튼 : 시작 메뉴가 표시, 최근에 추가한 앱과 자주 사용하는 앱, 앱 목록, 사용자 계정, 설정, 전원 등이 표시되는 메뉴검색 창 : 시스템에 있는..
1. 바탕 화면의 구성 및 설정바탕 화면의 기본 화면작업 표시줄의 오른쪽 끝에 있는 '바탕 화면 보기' 버튼 클릭Win + D바탕 화면의 배경 화면배경 화면에 사용이 가능한 이미지 파일 : bmp, gif, jpg, png 등배경 화면 표시 형식 : 채우기, 맞춤, 확대, 바둑판식 배열, 가운데, 스팬 등바탕 화면 아이콘 정렬 / 표시하기바탕 화면 아이콘 정렬하기바탕 화면에서 마우스 오른쪽 단추 클릭 후 [정렬 기준]에서 정렬할 기준을 클릭[정렬 기준] : 이름, 크기, 항목 유형, 수정한 날짜바탕 화면 아이콘 표시하기바탕 화면에서 마우스 오른쪽 버튼 클릭 후 [보기]에서 [바탕 화면 아이콘 표시]의 선택 여부에 따라 모든 바탕 화면 아이콘을 표시하거나 숨김2. 바로 가기 아이콘바로 가기 아이콘의 개념자..
1. Windows의 특징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GUI) 제공 : 키보드 없이 마우스로 아이콘이나 메뉴를 선택하여 작업을 수행하는 그래픽 기반의 인터페이스 방식선점형 멀티태스킹 방식 제공 (Preemptive Multi-Tasking) : 동시에 여러 개의 프로그램을 실행하면서 운영체제가 각 작업의 CPU 이용 시간을 제어하여 앱 실행 중에 문제가 발생하면 강제로 종료시키고, 모든 시스템 자원을 반환하는 운영방식플러그 앤 플레이의 지원 (PnP; Plug & Play) : 하드웨어를 설치했을 때 필요한 시스템 환경을 운영체제가 자동으로 구성해주는 자동 감지 기능을 제공하는 방식OLE 사용 (Object Linking and Embedding) 사용 다른 앱에서 작성 중인 문자나 그림 등의 개체를 현재..
내 블로그 - 관리자 홈 전환 |
Q
Q
|
---|---|
새 글 쓰기 |
W
W
|
글 수정 (권한 있는 경우) |
E
E
|
---|---|
댓글 영역으로 이동 |
C
C
|
이 페이지의 URL 복사 |
S
S
|
---|---|
맨 위로 이동 |
T
T
|
티스토리 홈 이동 |
H
H
|
단축키 안내 |
Shift + /
⇧ + /
|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