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과목. 소프트웨어 설계 > 1장. 요구사항 확인 > DBC(Design By Contract) :DBC의 개요아이펠 언어의 개발자인 버트란드 마이어가 개발한 개념프로그램의 정확성 보장을 위한 소프트웨어 모듈들의 권리와 책임을 문서화하는데 초점각각의 모듈이 가져야 하는 기능만큼만 동작하도록 하며, 이러한 개념을 문서화하고 검증함 DBC의 세 가지 유형선행 조건(Precondition)루틴(함수, 메소드, 모듈)이 호출되기 위해 참이어야 하는 것 (루틴의 요구사항)루틴의 선행 조건이 위반된 경우 루틴이 호출되어서는 안 됨제대로 된 데이터를 전달하는 것은 호출 쪽의 책임임후행 조건(Postcondition)루틴이 자기가 할 것이라고 보장하는 것루틴이 수행된 후 만족하여야 하는 조건클래스 불변식(class i..
1과목. 소프트웨어 설계 > 1장. 요구사항 확인 > CASE(자동화 도구) : CASE 도구, 하위 CASE의 종류(프로그래밍 지원 도구)CASE 도구의 개념컴퓨터 지원 시스템 공학 소프트웨어 개발 과정에서 사용되는 요구 분석, 설계, 구현, 검사 및 디버깅 과정 전체 또는 일부를 컴퓨터와 전용 소프트웨어 도구를 사용하여 자동화 하는 것객체지향 시스템, 구조적 시스템 등 다양한 시스템에서 자동화를 위해 사용되는 도구CASE 도구의 등장 배경소프트웨어 산업 측면 : 소프트웨어 위기 극복정보시스템 관리 측면 : 요구사항의 관리 효과 극대화, 재사용성 및 생산성 확대를 위해 등장 CASE 도구의 구분상위 CASE(Upper CASE)소프트웨어 생명 주기 전반인 시스템 계획, 요구 분석, 상위 설계 단계 지원..
3과목. 데이터베이스 구축 > 2장. 물리 데이터베이스 설계 > CRUD 매트릭스의 구성CRUD 매트릭스의 개념프로세스와 엔티티의 상관관계를 이용하여 구축된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을 검증하는 방법2차원 형태의 표로, 행에는 프로세스, 열에는 테이블, 행과 열이 만나는 위치에는 프로세스가 테이블에 발생시키는 변화를 표시하는 업무 프로세스와 데이터 간 상관 분석표CRUD 매트릭스의 특징 프로세스의 트랜잭션이 테이블에 수행하는 작업을 검증각 셀에는 Create, Read, Update, Delete의 앞 글자가 들어가며 복수의 변화를 줄 때는 기본적으로 C > D> U > R의 우선순위를 적용하여 한 가지만 적지만 활용 목적에 따라 모두 기록할 수 있음CRUD 매트릭스가 완성되었다면 C,R,U,D 중 어느 것도 ..
5과목. 정보 시스템 구축 관리 > 1장. 소프트웨어 개발 방법론 활용 > CMM(Capability Maturity Model Intergration)CMM 모델조직의 프로세스에 대한 가이드이자 기준능력과 성숙도로 조직의 프로세스를 측정하고 평가하는 모델의 통합 버전인 프로세스 개선 성숙도 모델시스템과 소프트웨어 영역을 하나의 프로세스 개선 툴로 통합시켜 기업의 프로세스 개선 활동에 광범위한 적용성을 제공하는 모델기존 CMM에 프로젝트 관리, Procurement, 시스템 엔지니어링 등의 요소를 추가한 모델CMM 모델 레벨초기 단계 : 프로세스 없음, 예측/통제 불가능관리 단계 : 규칙화된 프로세스, 기본적인 프로세스 관리 체계 수립정의 단계 : 표준화된 프로세스, 조직 차원이 표준 프로세스를 통한 프..
4과목. 프로그래밍 언어 활용 > 3장. 응용 SW 기초 기술 활용 > CDN(Contents Delivery Network)CDNCDN의 개념컨텐츠 제공업자(CP)의 웹 서버에 집중되어 있는 용량이 크고 사용자 요구가 잦은 컨텐츠를 통신사나 데이터센터에 설치한 CDN 서버에 미리 저장하여 최적의 경로로 사용자에게 컨텐츠를 전달하는 기술CDN의 주요 기술Cashing 기술 : 자주 찾는 페이지를 컴퓨터에 복사해 저장한 후 사용자가 찾으면 저장된 정보를 전송Global Server Load Balancing : CDN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인터넷 망에 분산 배치되어 있는 많은 캐시 서버 중에 이용자에게 최상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캐시 서버를 선정하여 연결 Load Balancing 기술 : 트래픽 ..
4과목. 프로그래밍 언어 활용 > 3장. 응용 SW 기초 기술 활용 > UDP(User Datagram Protocol)TCP/IP의 개념인터넷에 연결된 서로 다른 기종의 컴퓨터들이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도록 하는 표준 프로토콜1960년대 말 ARPA에서 개발하여 ARPANET(1972)에서 사용하기 시작UNIX의 기본 프로토콜로 사용, 현재 인터넷 범용 프로토콜로 사용됨TCP 프로토콜과 IP 프로토콜이 결합된 것 TCP (Transmission Control Protocol)OSI 7계층의 전송 계층신뢰성 있는 연결형 서비스를 제공패킷의 다중화, 순서 제어, 오류 제어, 흐름 제어 기능을 제공스트림 전송 기능 제공3Way-HandShake 기법(3방향 연결 설정)을 통해 신뢰성 있는 정보 전송을 제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