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5년 03차 / 문제풀이] 코드 실행 결과 : Python

2025. 6. 8. 12:05

 

코드 실행 결과 : Python_반복문

 

2021년-3차 63번. 다음 파이썬(Python) 프로그램이 실행되었을 때의 결과는?

 

def cs(n):
   s = 0
   for num in range(n + 1): #num이 range(n+1)만큼 반복됨 #range(n+1)은 0부터 n을 포함하는 범위
      s += num #매 반복마다 num 값을 s에 더함 
   return s #반복 종료 후 합계 s를 반환
   
   # n + (n-1) + (n-2) + ... + 0 = cs(n)

print(cs(11))

# 11 + 10 + 9 + ... + 0 = cs(11) = 66

 

① 45
② 55
③ 66
④ 78



정답 : 3
입력 답 : 4

 

2022년-1차 79번. 다음 Python 프로그램이 실행되었을 때, 실행 결과는?

 

a = ["대", "한", "민", "국"]

for i in a: #리스트 a의 각 요소를 하나씩 변수 i에 대입하여 반복
    print(i) #각 요소를 한 줄씩 출력함

 

① 대한민국
② 대



③ 대
④ 대대대대



정답 : 2
입력 답 : 1

 

2023년-3차 75번. 다음은 파이썬으로 만들어진 반복문 코드이다. 이 코드의 결과는?

 

while(True) :
	print('A')
    print('B')
    print('C')
    continue # continue : 루프 내에서 나머지 코드를 건너뛰고 다음 반복으로 즉시 넘어가는 것 (처음으로 되돌아감) 
    print('D') # 절대 실행되지 않음

 

① A, B, C 출력이 반복된다.
② A, B, C
③ A, B, C, D 출력이 반복된다.
④ A, B, C, D까지만 출력된다.



정답 : 1
입력 답 : 4

 


 

코드 실행 결과 : Python_조건문

 

2022년-2차 65번. 다음 Python 프로그램의 실행 결과가 [실행 결과]와 같을 때, 빈칸에 적합한 것은?

 

x = 20
if x == 10;
 print('10')
elif x == 20;
 print('20')
else : 
 print('other')
    
    
# if : 1차적 조건문
# elif : 2차적 조건문 = else if의 줄임 표현
# else : 최종 조건문

 

① either
② elif
③ else if
④ else



정답 : 2
입력 답 : 3

 


 

코드 실행 결과 : Python_print()

 

2022년-3차 65번. 다음 파이썬 코드에서 '53t44'를 입력했을 때 출력 결과는?

 

a, b = map(int, input().split("t"));
print(a, b)

# .split('t') : 문자열을 't' 기준으로 나누는 것, 이때 t는 사라짐
# print(a, b) = print(a, b, sep=' ')
# print 함수는 기본적으로 값 사이에 공백을 넣음

 

① 53 t 44
② 53t44
③ 53 44
④ 53, 44



정답 : 3
입력 답 : 4

 


 

 코드 실행 결과 : Python_슬라이싱 

 

2024년-3차 74번. 다음은 Python 프로그램이 실행되었을 때 결과는?

 

<보기>
String = 'Conceptual Schema'
    r = String[-4:6:-2]
    print(r)

 

① hSlu
② ShmCnep
③ ulSh
④ penCmhS



정답 : 1
입력 답 : 3

 

<풀이>

- 파이썬의 슬라이스 기본 형식 : [초기위치 : 최종위치 : 증가값]

- 문자별 위치 값

+ C : 0 / - 16

+ o : 1 / - 15

+ n : 2 / - 14

+ c : 3 / - 13

+ e : 4 / - 12

+ p : 5 / - 11

+ t : 6 / - 10 

+ u : 7 / - 9

+ a : 8 / - 8

+ l : 9 / - 7

+ S : 10 / - 6 

+ c : 11 / - 5 

+ h : 12 / - 4

+ e : 13 / - 3

+ m : 14 / - 2

+ a : 15 / - 1

- 증가값이 음수일 때 : 초기위치부터 최종위치+1까지 증가값만큼 증가하면서 요소들을 가져옴

+ -4의 위치에 있는 h부터 7의 위치에 있는 u까지 한 자리씩 건너띄며 가져오면 "hSlu"가 됨

 


 

BELATED ARTICLES

more